2020년 2월 15일 티스토리를 시작한다.
개인 카페에 혼자 정리를 한 것들이 있는데, 이 곳에 풀어보려고 한다.
현재 김포시 장기동에 경매 신규 물건들이 몇 개 나왔는데, (2월15일 기준)
그 근처에 분양하는 단지들이 얼마나 많은지 살펴보고, 향후 가격을 예측해보자.
장기역을 기준으로는 3년이내 입주 아파트들이 없지만,
그 전 역 다음역을 기준으로 다 신축 아파트들이기 때문에 앞으로 떨어질 지를 눈여겨 봐야한다.
위에 3단지 한강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 446세대 20년 3월 입주
한강금호어울림2단지 467세대 20년 3월 입주/ 1단지 406세대 20년 3월 입주
구래역이랑 1.5km 가량 떨어져 있는곳에서 약 1319세대가 20년 3월에 입주 예정이다.
이 입주는 다 되었는지, 피는 얼마나 떨어지는지 살펴봐야한다.
구래역 바로 앞, 메트로타워예미지 701세대, 21년 3월 입주
호가 그래프로만 보면 약간씩 오르는거 같다. 역 바로 앞에 있는건 무시할 수 없을거 같다.
그 밑으로는 동일스위트1 1021세대, 20년 12월 입주
동일스위트2 711세대 20년 12월 입주 예정으로 1732세대가 12월에 또 입주 예정임.
장기역 2역 뒤인 구래역에서 이미 3700세대가 분양된다. 가격은 얼마나 떨어질까? 살펴보라.
만약, 이 세대들이 들어간다면 주변에 오래된 아파트에서 빠져나가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그럼 그 만큼 가격을 던지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또한 구래역 근처에 입주 3년 이내 아파트들도 많이 때문에,
이쪽에 사는 사람들은 시세 걱정을 해야 한다... 나는 무서워서 못 들어가겠다..
장기역보다 2역 전인 걸포북변역
위에서부터, 메트로자이3 - 431세대, 20년7월 입주 (피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곳)
메트로자이2 -2456세대, 20년 7월 입주 (3억9000에서 4억9000까지 호가 지속 상승)
메트로자이1단지- 1142세대, 20년 8월 입주 (4억2000에서 4억8000까지 호가가 오름)
+오피스텔 200세대 20년 8월 입주
걸포북변역에서만 4030세대가 2020년 7월 8월에 입주 예정
이거는.. 얼마나 영향이 있을까?
지금까지 구래역 3700 + 걸포북변역 4030 세대...
8700세대가 역세권이라고 분양되는 중
제일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인천 검단, 2기신도시 이다.
인천1호선 검단역이 연장된다고 하지만, 서울로 들어가는 역은 아직 없다.
101역과 102역 사이부터 살펴본다.
대광로제비앙 735세대 2022년 7월 입주 (경쟁률 0.33~0.86:1)
2차노블랜드에듀 1417세대 2022년 9월 입주
청약 경쟁률 84타입만 간신히 1이 넘고, 나머지는 1 이하인 곳..
검단파라곤 887세대, 2022년 5월 입주 (경쟁률 0.3:1)
검단센트럴푸르지오 1540세대, 2021년 8월 입주 (경쟁률 0.6~1.9:1)
호밧써밋인천검단1차 1168세대, 2021년 6월 입주
4억에서 4억3000까지 호가가 오른거 같은데 언제 까지 지속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우미린더퍼스트 1268세대, 2022년 1월 입주
금호어울림센트럴 1452세대, 2021년 7월
101역과 102역 사이 세대는 8467세대... 호갱노노 평가에는 자기 단지가 다 좋다고 한다.
101역 밑을 본다.
한신더휴 936세대 2021년 9월 입주 - 경쟁률 0.81~1.61:1
유승한내들에듀파크 938세대 2021년 9월 입주
AA2파라곤 센트럴파크 1122세대 2022년 6월 입주 / 경쟁률 5.5~12.8 :1
(왜 이거는 줍줍없이 경쟁률이 쌘가?)
호반써밋2차 719세대, 2022년 5월 입주 / 경쟁률 2~3.3:1
AAA3모아미래도 658세대 2022년 9월 입주 / 경쟁률 0.4~0.8:1
AB4대방노블랜드 1279세대 2022년 3월 입주
신안인스빌어반퍼 1073세대 2022년 7월 입주 / 0.15:1 경쟁률
엘가그랑데 510세대 2023년 1월 입주 / 평균 9.8:1 경쟁률!
101역 밑으로 7235세대...
아직 분양 예정인 6곳
RC3블럭 447세대 / RC4블럭 483세대
대성베르힐 745세대 / 예미지2차 1229세대
우미린2차 478세대 / 3차노블랜드 772세대...
101역 102역 근처 예정만 4154세대 이다.
정리해보면, 8700세대 + 19856 세대 = 28550세대가
2020년 3월부터 12월, 21년 22년 계속 입주하는 것이다.
가격을 진짜 보수적으로 잡아야 할 것.
이 분양가를 과연 믿어야 될 것인가?
임장 중에 충격 먹었던 것중 하나는, 일산에 가좌동이 있다. 가좌 7단지
49평의 가격이 37평과 비슷한 것이였다. 그래서 부동산이 물어보니,
2008년 분양 당시 37평은 실수요자들이 매수했고,
49평은 7억5천, 57평은 9억으로 실수요자들이 접근 안하니 투자자들에게 분양을 하며,
무이자로 3년, 5년 버틸수 있게 해줬다고 한다.
그 뒤 2013년 이후로 버티지 못하는 투자자들이
던지는게 경매로 나오고, 가격이 떨어지면서 7억5천에서 4억대까지 떨어진 것이다.
물론 이 당시에 국토부장관의 지하철 확장, 3호선이나 경의선 연장을 들먹이기만 함.
뭐 다.. 정치와 관련된거 아니겠는가..
이 말을 2월 초에 한 번 듣고 나니, 분양에 대한 생각이 달라졌다.
물론 지인 중에 한 명이 경복궁 자이를 미분양때 받아서,
2배의 가격이 올랐다고 했는데 확실한건 서울 종로와 가까운 곳이라 하락할 수가 없는 것이다.
요기까지 공부를 해보니, 김포시 장기동에 매물이 왜 자주 나오는지...
가격을 보수적으로 잡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며, 포스팅을 마친다.
'김포시, 고양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시 앞마당 파악 (은평구, 김포시, 파주시) (0) | 2020.02.23 |
---|---|
창릉신도시 (3기 신도시) (0) | 2020.02.22 |
2월14일 앞마당 생각. (0) | 2020.02.22 |
중산동 & 일산 두산위브 더 제니스 나무위키 (0) | 2020.02.16 |
1기 신도시 & 일산 신도시 나무위키 (0) | 2020.02.16 |